반응형
이 게시물은 Database GUI Oracle SQL Developer의 아래 버전 정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Java(TM) 플랫폼 : 1.8.0_321 Oracle IDE : 4.1.5.21.78 |
INSERT의 기본 개념과 사용 형태
설명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명령어
사용 형태
INSERT INTO [테이블명] (열1, 열2, ... , 열n) VALUES (값1, 값2, ... , 값n);
이때, VALUES 앞의 열 지정은 생략할 수도 있지만, 열 개수와 자료형 및 길이를 반드시 맞춰 주어야 한다.
그러나 본인 혹은 다른 개발자가 쿼리문 참조 시 자료를 별도로 찾아야 하는 수고를 덜기 위해서는 열을 명시해 주는 것이 좋다.
아래 테이블이 없다면 이전 게시물(링크)을 보고 임시 테이블을 CREATE한 뒤 다시 돌아오자.
-- 사용할 테이블 현황 확인
SELECT * FROM TB_DEPT;

-- INSERT문 실행 후 확인
INSERT INTO TB_DEPT (DEPTNO, DNAME, LOC)
VALUES (50, 'SERVER', 'LOS ANGELES');
SELECT * FROM TB_DEPT;

-- 열 지정 생략 후 INSERT문 실행
INSERT INTO TB_DEPT
VALUES (60, 'DESIGN', 'TEXAS');
SELECT * FROM TB_DEPT;

이때 테이블의 열에 특정한 제약조건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NULL이나 빈 문자열('')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열의 자료형이 문자열이나 날짜인 경우 빈 문자열이 NULL로 삽입된다.
INSERT INTO TB_DEPT (DEPTNO, DNAME, LOC)
VALUES (70, '', NULL);
SELECT * FROM TB_DEPT;

또한, 열 이름과 삽입할 자료를 둘 다 명시하지 않으면 해당 열은 자동으로 NULL이 삽입된다.
INSERT INTO TB_DEPT (DEPTNO, LOC)
VALUES (80, 'MY HOME');
SELECT * FROM TB_DEPT;

반응형
'개발 지식 > [DBMS]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DML(4) - 서브쿼리를 활용한 다중 INSERT (0) | 2022.06.09 |
---|---|
[Oracle] DML(3) - 날짜 데이터 INSERT (0) | 2022.06.08 |
[Oracle] DML(1) - 들어가기 전에 (0) | 2022.06.06 |
[Oracle] 서브쿼리(4) - 다중열 서브쿼리를 통한 WHERE절 비교 (0) | 2022.06.05 |
[Oracle] 서브쿼리(3) - 다중행 서브쿼리 (0) | 2022.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