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물은 아래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Java : 11.0.15.1 OS : Windows 10 Pro IDE : Eclipse IDE for Enterprise Java and Web Developers - 2022-06 |
명명 규칙
명명 규칙이란?
앞의 포스트들을 꼼꼼히 읽었다면 이놈의 GSP가 자꾸 파일 이름이나 변수 이름 등 이름을 붙일 때 '암묵적 규칙'이라는 말을 언급해 온 것을 기억할 것이다. 암묵적이라는 말을 붙인 것은 규칙들을 지키지 않는다고 해서 프로그램의 실행에 지장이 오진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명 규칙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코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한 최소한의 약속이다.
특히 개발을 한다면 협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명명 규칙을 지키지 않는 것만으로도 크게 비난을 받거나 프로그래밍 실력과 경력에 대한 의심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것을 중요하게 여겨서 개발자들이 개발을 시작하기 전 파일명이나 변수명의 명명 규칙 등을 사전에 정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가능한 한 명명 규칙을 지키면서 명명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명명 규칙의 방법과 명칭
1. 헝가리안 표기법(Hungarian Notation)
변수 등 인자 이름 앞에 데이터 타입을 명시하는 명명 규칙. 현재는 IDE의 발달로 데이터 타입의 확인이 매우 쉬워졌고,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공식 가이드라인에서도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어 잘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문자열(String) 변수를 명명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다.
String strHello = "Hello, world!";
2. 카멜 표기법(Camel Case)
첫 어절의 첫 문자를 소문자로 표기하고, 그 다음 어절의 첫 문자부터는 대문자로 표기하는 명명 규칙. 단봉낙타 표기법이라고도 함. 현재 우리가 배우고 있는 Java 프로그래밍에서 권장되는 표기법(절대적인 것 아님). 주로 변수명, 접두사를 붙이는 메서드명의 명명에 사용된다. 간혹 접두사 여부와 관계 없이 모든 메서드명 명명에 카멜 표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참여하는 프로젝트에서 약속한 규칙에 따르면 됨)
int myAge = 32;
String myNickname = "GSP";
public void loadData() {
}
3. 파스칼 표기법(Pascal Case)
어절의 첫 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명명 규칙. 쌍봉낙타 표기법이라고도 불린다. Java에서는 주로 클래스명, 메서드명 명명에 사용된다.
public class MyStud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GSP 짱짱맨!!");
}
}
public String ChangeWeapon(String input) {
}
4. 스네이크 표기법(Snake Case)
한 어절마다 언더바('_')를 붙여 명명하는 명명 규칙. 주로 HTML/CSS에서 id, class 이름을 작성할 때 사용한다. Java에서는 상수에 명명할 때 모두 대문자로 작성하여 사용한다. Java에서도 카멜 표기법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스네이크 표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final int MY_HEIGHT = 170;
String snake_case = "스네이크_표기법";
마치며
명명 규칙에 절대적인 것은 없다.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자신의 코딩 스타일이 생길 것이고, 참여하는 프로젝트에 따라 통일해야 하는 경우도 생길 것이다. 이럴 경우 어떠한 규칙만이 맞다고 완강하게 고집하기보다, 그러한 규칙이 있는 이유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같이 조율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현명한 방향이 될 것이다.
'개발 지식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연산자 (0) | 2022.07.14 |
---|---|
[Java] 형 변환 (0) | 2022.07.13 |
[Java] 변수(4) - 상수 (0) | 2022.07.11 |
[Java] 변수(3) - 참조형 변수와 String (0) | 2022.07.10 |
[Java] 변수(2) - 자료형과 기본형 변수 (0) | 2022.07.08 |